사뭇 기대되는 면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우려되는 기분도 든다.
국내에도 아이폰, 안드로이드와 같은 모바일 개방형 플랫폼이 나온다는 것은 사뭇 긍정적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듣기로는 삼성에 예전에 해외에서는 '바다' 플랫폼을 적용한 사례가 있다는 말도 들었다. 당시로선 플랫폼 자체가 무거워서 좀 그랬다는 말을 들었는데... 지금은 어떨지...?
그리고 몇 년에 걸친 플랫폼인지는 모르지만 그동안 숨겨진 상태로 있다가 돌연 아이폰, 안드로이드의 방향에 맞추어 공개를 한다는 것도 조금은 걱정이 된다.
오랫동안 플랫폼을 위한 개발과 실패를 거듭한 끝에 나온 아이폰, 현재까진 현존하는 좋다는 오픈소스는 거의 모아서 컴팩트하게 만들어둔 안드로이드, 몇 년 동안의 개발을 통해서 만들었는지 모르지만 충분한 검증이 되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도 언제나 부정적인 면만 있는 것은 아닌듯...
삼성이란 브랜드를 통해서 충분히 노키아의 심비안과 비슷한 행보를 취하는 것을 보아선 충분히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젠 독자적인 모바일 플랫폼을 가지는 것은 어쩌면 모바일 에코 시스템 내에 있는 경쟁력 있는 기업이라면 당연히 가야할 길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가운데 한국기업의 하나가 있다는 것은 새삼 자긍심을 가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부디, 좋은 평가가 이루어져 좋은 이미지, 시장의 한 획이 되길 조심해서 바래본다.
댓글 3개:
이번에는 믿을만 한 것인지 모르겠군요. 전에도 SDS에서도 자체 F/W 개발했다고 했는데, 스프링소스와 기타 다른 소스를 박아둔 것을 보았는데... 쩝. 믿을만한 것인지.
@Richpapa - 2009/11/12 15:33
네에...예상하신 대로 완전히 자체 개발한 것은 아닙니다.
소식통에 의하면 Mentor의 RTOS인 Nucleus OS를 customized한 플랫폼이라고 합니다. 제가 Nucleus OS를 잘 알지 못해 comment를 달기 힘들지만, 해당 OS를 커스터마이징한 형태이니 자체 개발한 것이라고 말하기 힘들겠죠...쩝...
하긴 스프링 소스를 가져다 자체 프레임워크라고 한 것은 자바 개발자라면 세상이 다 아는 사실이죠...
그냥 이러나 저러나 좋은 소식을 바랬는데, 좀 실망감이 큰 느낌이죠?
모바일 OS계의 티맥스가 될런지...허허...
trackback from: 삼성의 바다
삼성이 바다라는 모바일 운영체제를 내놓았다. 굳이 라이센스가 공짜인 안드로이드를 사용하는 대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다를 개발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동안의 삼성전자의 모바일폰은 소프트웨어보다는 하드웨어 업체라는 의미가 더 강했고, 잘해왔다. 좋은 하드웨어를 만드는 회사였음은 분명했지만 소프트웨어는 관심이 없었거나 있다고 해도 그렇게 중요도를 높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노키아는 트롤테크라는 업체 인수를 통해 QT기반의 리눅스 OS인 maem..
댓글 쓰기